공업용 본봉 분해도
페이지 정보
작성자 최고관리자 작성일15-08-19 18:02 조회4,556회 댓글0건본문
본봉재봉기의 구조 설명(2)
북 기구
가) 전회전 북의 운동
겉북이 하축에 고정되어 있으며 바늘봉이 1왕복할 때 2회전한다.
그러기 때문에 상축에 대하여 하축은
2배 회전하게 되는 것이고 상축→ 입축→하축을 기어로 연결하였으며
회전비율은 상축대입축비는
3/2이고 입축대 하축비는 4/3배로 2단 증속되어 있다.
이것은 기어의 톱니수로 맞추어져 있다.
나)북의 구조
다) 북의 윗실 조작
①겉 북의 북끝이 바늘끝에 생긴 윗실의 루우프에 건다
②겉북은 윗실을 북끝에 건채 안북의 주위를 돈다
③안북은 레이스면이 실가르기 부에서 윗실을 안북의 안쪽과 바깥쭉으로 가른다.
④겉북이 윗실을 잡아 당겨 안북의 바로 아래에 왔을 때 윗실의 루우프는 안북을 꿰어 나간다
⑤실채기는 이때부터 위실을 올리기 시작한다.
⑥겉북의 북끝이 1회전하여 실을 걸기 직전의 위치로 돌아왔을 때 위실은 레이스면에의 실빼는 부분
에 서벗겨져 북에서 빠진다.
보내기 기구봉
재기 구조 중에서 가장 복잡한 것이 이 보내기 기구이다. 바늘이 천을
관통하고 있을 동안은 보내기는
정지할 필요가 있고 또 보내기 기구이다. 바늘이 천을 관통하고 있을 동안은 보내기는 정지할 필요가
있고 또 보내기양도 변화되어야 한다 또 보내기 방향도 전후 전환이필요하다.
가)상하수평 보내기의 수평 보내기의 합성기구
톱니가 바늘판 상면으로 나온다. →상하 보내기 기구
톱니가 바늘판 상면에서 전진한다 → 수평보내기 기구
톱니가 바늘판 하면으로 가라 앉는다→ 상하보내기 기구
톱니가 바늘판 하면에서 후퇴한다 → 수평 보내기 기구
톱니가 바늘판 상면에서 움직인다 → 보내고 있다.
톱니가 하면에서 움직인다. → 보내지 않는다.
나)수평 보내기 기구
상축에 고정된 보내기 편심 캠으로 두갈래 로드를 흔들어 두갈래
로드에 링크를 달아서 두갈래 로드를
상하운동으로 바꾼다. 이 두 갈래 링크의 지점을 변환 시키므로서
상
하운동량의 조절(보내기눈조절)과
상하 보내기와 타이밍 변환등을 할 수 있는 기구이다. 이외에 편심캠
자체의 편심량을 따로 조정하는
것도 있다.
다) 상하 보내기 기구
톱니와 바늘판 위로 올리거나 가라앉게 하는 일을 하며 상축에
고정된보내기 캠에 로드를 연결하여 상
하 보내기축에 전달한다. 상하 보내기 량은 조절할 필요가 없으므로
캠의
편심량으로 일정하게 하여 놓
아져 있다.
width=300 height=327>
라) 반대 보내기 기구
수평 보내기와 상하 보내기의 타이및을 반대로 하면 된다. 두 갈래링크이 지점을 두갈래의 로드의 심
에서 오른쪽 왼쪽으로 옮김으로 서 수평보내기와의 타이밍이 변하게되는 까닭이다.
실 조절기구
두장의 원판을 둥근 용수철로 압축하여 그 사이에 윗실을 넣어 위실에
적절한 장력을 갖게하여 실채기가
실을 끌어 올리는 힘에 저항하여 필요없는 실을 끌어 내지 않게 되어
있는 장치이다
원판의 압축이 약하면 불필요한 실을 뽑아내서 실 짜임새가 불량하게되고 너무 강하면 윗실이 너팽
팽하게 당겨져서 실 끊김 또는 밑실이 위로 올라 오게 되어 박음 불량이나 봉축 심 파커링이 된다.
가) 윗실 조절
나) 실채기 용수철
실 채기의 실 늦춤량과 북의 윗실 당기는 량과의 차(늦춤량이 많다
)를
용수철이 완충으로 흡수하여윗
실이 돌아 나오는 것을 원활이 하는 일을 하며 봉제 조건에 따라
운동량이나 강도 등의 조정이 필요하
다.
다)밀실 조절
보빈 케이스의 실 조절 용수철로서 보빈 케이스에서 뽑혀 내어지는
밀실에
적당한 장력을 갖게 한다.
보통은 밑실 장력을 일정하게 하여 이것에 윗실조절을 맞추어간다.
밑실
장력은 20g전후가 적절하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